용접을 하면 용접이 잘 되었는지, 결함이 있는지 없는지의 여부를 확인해야 하는데 이때 확인 가능한 방법이 비파괴(NON-DESTRUCTIVE) 시험입니다. NDE (NON-DESTRUCTIVE EXAMINATION)라고도 하고 NDI (NON-DESTRUCTIVE INSPECTION)라고도 합니다.
제품을 만들어서 검사를 해야 하는데 파손이나 손상을 가해서 검사를 한다면 의미가 없겠지요? 그래서 제품 손상없이 검사를 하는 것이 비파괴검사 입니다. NDE를 이해 못하는 분들은 간단히 말하면 병원에 가서 흉부 검사를 하는데 수술하듯이 하면 신체 손상이 되기 때문에 누구도 하지 않을 것입니다. 신체 손상없이 누구나 한 번쯤은 건강검진할 때 X-RAY 촬영을 하지요? 이것이 비파괴 검사입니다. 검사 대상이 다를 뿐 몸속이나 제품에 문제가 있는지 없는지 그 상태를 검사하여 이상 유,무를 확인하는 것이 비파괴검사(NDE) 입니다.
오늘은 사람 인체에 대한 검사는 아니고 제품에 대한 비파괴 검사(NDE)를 말하려고 합니다.
NDE 종류에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통상적으로 RT / UT / MT/ PT 가 있습니다. 이 외에도 ECT / VT / LT / AET 등이 있으나 본 포스팅에서는 통상적으로 적용되는 RT / MANUAL UT / MT / PT에 대해 결함 검출을 위해 적용되는 NDE 방법에 대해 언급하겠습니다.
우선 NDE METHOD에 대한 명칭을 보면
☞ RT (RADIOGRAPHIC TEST_방사선투과검사)
☞ UT (ULTRASONIC TEST_초음파탐상검사)
☞ MT (Magnetic Particle Test 자분탐상검사)
☞ PT (PENETRAT TEST_침투탐상검사)입니다.
NDE도 품질의 한 분야로 STUDY도 많이 해야하는 특수공정입니다. NDE 별 세세한 내용은 생략하도록 하겠습니다.
용접 후 NDE를 실시하면 여러 가지 다양한 형태의 결함들이 발생됩니다. 이때 NDE 적용을 할 경우 결함 위치별로 검출할 수 있는 결함이 NDE METHOD 별 차이가 있습니다.
그러면 아래 테이블상에 나와있는 결함의 종류와 적용되는 NDE 방법을 보시고 확인 부탁드립니다.
대체적으로 RT는 근본적으로 내부 결함을 검출하기 위한 비파괴 검사 방법이지만 표면 결함도 검출할 수 있습니다. UT는 용접금속의 내부에 존재하고 있는 결함을 알아보기 위함이고 UT 방법에 따라서는 표면 결함 검출도 가능한 경우가 있습니다.
MT와 PT는 표면에서 기인하는 결함을 검출하기 위해 적용되는 NDE 검사 방법입니다. 위 TABLE에서 보듯이 MT와 PT는 SURFACE 용접 DEFECT는 물론 SURFIACE 바로 아랭에 존재하는 결함 검출도 가능 하지만 표면에 많이 떨어진 결함은 검출할 수 없습니다.
위 TABLE의 3항과 9항처럼 MT나 PT와 같은 비파괴 검사 방법으로 결함을 검출 가능하지만 이것은 제한적인 사항입니다. 제품 내에 사람이 들어가서 작업이 가능한 부분은 검사 가능하겠으나 사람이 들어갈 수 없는 제품인 경우 MT나 PT로 검사 불가한 검사 방법입니다.
왜냐하면 NDE는 NDE OPERATOR에 의해 준비하고 SETTING 하여 판단하고 평가(EVALUATION)를 해야 하지만 NDE OPERATOR가 접근할 수 없는 소 구경 SIZE의 PIPE나 TUBE 그리고 열교환기 같은 경우 내부 표면 검사는 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반대로 RT나 UT의 경우 제품 IN & OUTSIDE 구분없이 가능하고 NDE OPERATOR가 제품 내부에 들어가지 않고 OUTSIDE 에서 NDE를 할 수 있는 검사 방법 입니다. 그러나 FILLET용접부는 RT나 UT를 거의 적용하지 않고 통상적으로 MT나 PT를 적용한다.
추가로 언급할 내용은 많지만 오늘은 간단하게 여기까지 포스팅하겠습니다.
궁금하시거나 위 내용에 오류가 있으면 댓글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용접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용접 불연속형태와 위치 (0) | 2022.01.31 |
---|---|
용접결함의 원인과 대책 (0) | 2022.01.31 |
그림으로 보는 WELDING PROCESS (0) | 2022.01.30 |
WELDING TYPE (용접 타입). SAW가 자동용접이라고? (0) | 2022.01.30 |
전기용접 (Electric Welding)과 아크용접 (Arc Welding) ??? (0) | 2022.01.3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