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테이너2 품질) 포장(PK)과 운송에서 중요한 CBM (CUBIC METER)에 대하여 CBM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CBM은 Cubic Meter의 약자입니다. 1CBM은 가로 1M x 폭 1M x 높이 1M 로 용적률을 말합니다. 물의 비중이 1이기 때문에 1CBM에 물을 채워 넣으면 1000kg (1 ton)이 됩니다. CBM을 알아야 하는 것은 물품 운송시 CBM 관리를 해야하기 때문입니다. 컨테이너에 물품을 넣을때 어느 정도의 물품을 넣을수 있는지 CBM을 알아야 예상 할 수 있습니다. 컨테이너가 아니라도 선적을 하는 경우 CBM을 알아야 합니다. 그래서 선적하여 운송을 하는 경우 Preformer Packing List를 사전에 준비하고 정보제공을 하게 됩니다. CBM을 쳐적화 하기 위해서는 결국 담당자가 어떻게 Packing Package를 구성하느냐도 중요하고 특히 설계의 경.. 2022. 2. 10. FCL, LCL, CY, CFS ? 이게 머선 말이고~ PROJECT를 수행하다 보면 견적 단계에서 납품 할때 까지 납품 조건 선적 요건들이 나오는데 납품 조건이 CFS라고 나오는 경우를 볼 수 있습니다. 통상 FOB로 나오는데 갑자기 CFS라는 용어가 나오고 LCL이니 FCL이니 말들이 오고 갑니다. 그래서 FCL, LCL, CY, CFS에 대한 용어가 무었을 의미하는지 보기로 하겠습니다. LCL은 (Less than Container Load) 여러 화주의 화물로 1개의 컨테이너를 채우는 혼재 화물을 말하는 것입니다. 화물의 양이 한 컨테이너를 채울 만큼 많지 않은 경우가 발생됩니다. 이럴 경우 여러 화물을 모아서 하나의 컨테이너에 채우게 되는데 이러한 방법을 LCL 또는 LCL화물 이라고 합니다. 컨테이너 터미널에서 모으고 합치고 나누어 담는 과.. 2022. 2. 8.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