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SCODE2 국제통일 상품분류제도! 품목분류코드! HS Code! HS코드! HS Code에 대한 포스팅입니다. 업무를 하다보면 무역전공은 아니지만 무역업무를 나도 모르게 주어진 업무라고 최선을 다해서 하다보면 어느때인지 모르지만 본의 아니게 무역을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관련 전문가도 아니고 관련부서도 아니지만 때로는 일 처리를 해야하고 팔방으로 뛰다보면 나도 모르게 접할수 있는 업무가 외국 공사의 물품발송업무입니다. 대기업 같은경우나 중견기업은 담당부서가 있지만 중소,소기업은 그렇지가 않지요. 이것도 하고 저것도 해야하고 막히는 곳 서로 뚫어야 일이 진행되고 비용절감되는 것입니다. 흔히 접하는 출하업무 물품발송업무입니다. 해외에 물품발송하는 경우 바쁠수 밖에 없습니다. 생소한 업무에 부딪히며 풀어가는 수출처리업무 입니다. 수출처리업무가 여러가지 있겠지만 HS Code에 대해.. 2022. 2. 16. FTA(자유무역협정) 원산지증명서(C/O or CO : Certificate of Origin) ㅎ외공사 할 경우 물품을 납품해야 하는데 해당국가가 어디냐에 따라 FTA원산지증명을 제출해야 합니다. FTA(자유무역협정 Free Trade Agreement)는 협상체결 국가간 무관세 또는 저율관세를 적용하여 물품의 자유로운 이동촉진과 협정국간 무역의 원활화를 통한 수출입을 확대하는데 목적이 있습니다. 협정국(특혜) 물품과 비협정국 물품을 구별하기 위해 FTA(특혜) 원산지 증명서를 요구하고 있습니다. 한국과 FTA를 맺은 협정국을 보면 미국, EU, 칠레, 페루, 중국, 싱가폴, 인도, 아세안(10개국) 등 여러 나라가 있습니다. 원산지증명서(C/O : Certificate of Origon)는 기관(세관,상공회의소)에서 발행하는 원산지증명서와 자율발급 원산지증명서가 있습니다. FTA원산지증명서는.. 2022. 2. 9.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