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혹 주변 분들에게 PWHT에 대해 물어오는 사례가 있어 오늘은 흔한 CARBON STEEL에 대한 ASME Sec. I 에 규정된 PWHT 요건을 보겠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ldZZ1/btrt83AxxDf/zViSKT9KpsAYqqWQYD6Cak/img.png)
PWHT는 POST WELD HEAT TREATMENT의 약자로서 용접 후 열처리라고 합니다.
STRESS RELIEVING, ANNEALING 모두같은의미입니다. 제품을 만들어 용접한 후에 열처리를 해야하는지 말아야 하는지 PWHT를 하게되면 어떻게 해야하고 온도는 얼마로 해야하는지 알아야합니다.
![](https://t1.daumcdn.net/keditor/emoticon/friends1/large/002.gif)
PWHT는 ASME CODE에서 CONSTRUCTION CODE인 ASME SEC. I, III , VIII 그리고 B31.1에 따라 PWHT 요건 차이가 있으며 재질(BASE METAL)과 용접 두께에 따라 차이가 있습니다. 오늘은 이 중에서 ASME SEC.I PW-39-1에 나와 있는 CARBON STEEL에 대해서만 언급해 드리겠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26udy/btrt7tzEAi8/EIbxvFmdDQEhio6IU6aqZ1/img.png)
ASME SEC.I PW-39에는 아래와 같이 언급이 되어 있는데 아래 TABLE P-NO.1 Group No.1, 2, 3이라고 나와 있는 것이 ASME CODE 상 CARBON STEEL로 분류된 MATERIAL GROUP 번호입니다.
아래 테이블을 보면 PWHT를 하는 경우 최소 HOLDING TEMPERATURE(유지시간)도 나와 있고 두께별 최소 HOLDING TIME(유지시간)도 명시되어 있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cv8Ff2/btruaixiLb4/wKDRm4Q6fvKfdPGlLMKaJk/img.png)
![](https://blog.kakaocdn.net/dn/ba35W5/btrt43Ve6Tf/zzF3mQsOdk1kEcLabCfG70/img.png)
![](https://blog.kakaocdn.net/dn/7AnxW/btrt4rhMmcu/KxwAU3oxZOBHgWTF1cvv80/img.png)
위 TABLE 상 GENERAL NOTE 내용상 주 내용을 보면
![](https://blog.kakaocdn.net/dn/2CCLu/btrt4IKWJNi/kyQU8MmN2zkdKjQL23V9pk/img.png)
(a) 탄소 당량(CE)가 0.45% 이하이고 두께가 38mm를 초과하지 않는 경우 P-No. 1, Gr. No. 1, 2, 3에 대해 용접 후 열처리는 의무사항이 아니다. 두께가 38mm 초과하는 경우 탄소 당량(CE)가 0.45% 이하 이고 최소 예열 온도 120℃로 예열했을 때 용접 후 열처리는 의무사항이 아니다. 일렉트로슬래그 용접의 용접 후 열처리 요구 사항은 PW-27.3과 PW-39.7에 따른다.
![](https://blog.kakaocdn.net/dn/cnb4I7/btrt3fvI3GJ/nxtJ2DBPCbKmRVj91q6jpK/img.png)
(b) 다음 조건에 해당하는 경우 P-No. 1, Gr. No. 1, 2, 3에 대해 용접 후 열처리는 의무사항이 아니다.
(1) 그루브 용접이나 그루브와 필릿 조합 용접의 호칭 두께가 19mm(3/4in)를 초과하지 않고, 용접 이음부 모재의 어느 쪽이든 호칭 두께가 25mm(1 in)를 초과 하는 경우 최소 95℃로 예열 했을 때
(2) 그루브 용접이나 그루브와 필릿 조합용 접의 호칭 두께가 19mm보다 크지만 38mm를 초과하지 않고
a) 용접부 모재 어느 것이든 다음식을 사용하여 계산한 탄소 당량(CE)이 0.45% 이하인 때
![](https://blog.kakaocdn.net/dn/VAlrS/btrt3eKmh8A/SI5aT5SA7OyBQk7Bt4A9s1/img.png)
(주) CE 계산 시 재료 표준에서 화학성분 최대치나 화학분석이나 재료시험 보고서에 실제 값을 적용해야 한다. 위 공식의 뒤에서 두 개 항에 필요한 화학성분을 구할 수 없으면 다음과 같이 두 개 항 대신 0.15%를 적용해야 한다.
b) 최소 예열 온도를 120℃로 했을 때
c) 용접 패스의 개별 두께가 6mm를 초과하지 않을 때
(3) 확장된 열흡수판을 튜브에 부착하거나 단열부착핀을 압력부에 부착하는 용접
(4) 압력부에 용접하는 스터드로서 압력부의 두께가 25mm를 초과하는 경우 95℃이상으로 예열
하는 조건입니다.
위 조건들에 해당되면 PWHT를 하지 않아도 되지만 해당되지 않으면 열처리를 해야 합니다. 두께 기준은 38MM입니다.
![](https://blog.kakaocdn.net/dn/cpPl6w/btrtXZT1dAG/Hj62qb4xlBlyb2eAXmMj21/img.png)
기타 조건도 있지만 Code 참조하여 스터디 하시기 바랍니다.
위 언급된 내용은 Latest Edition에 따라 변경될 수 있지만 Concept만 으로 참조바랍니다.
![](https://t1.daumcdn.net/keditor/emoticon/niniz/large/002.gif)
기타 궁금한 사항 있으면 댓글 남겨 주시면 답해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