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산지증명서(Certificate of Origin) 발급에 필요한 서류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https://t1.daumcdn.net/keditor/emoticon/friends1/large/001.gif)
1.선적서류입니다.
선적서류로는 Invoice, Packing List, B/L 그리고 수출신고를 하면 세관에서 발행하는 수출 신고필증(수출면장 Export Permits))입니다.
![](https://blog.kakaocdn.net/dn/vlpuB/btruxk2u531/My1zj7KNbziUGSfJer6Wok/img.png)
![](https://blog.kakaocdn.net/dn/FFoQv/btrupIqiFSe/n9DmqR9FpOpgNal4TxCTQ1/img.png)
![](https://blog.kakaocdn.net/dn/dWEJXq/btruiQINcg9/onIyID4Wxp3RcGrscg6luk/img.png)
![](https://blog.kakaocdn.net/dn/uExOw/btrukfn7EOE/lgpSjeRS9CgZMDYNG0kFZ1/img.png)
![](https://blog.kakaocdn.net/dn/csLkcP/btrurTkApqT/WitOSh4U3cqWJoDFXKjke0/img.png)
![](https://blog.kakaocdn.net/dn/cQCAQ1/btruvvwrDUk/MgfYn75oOoykI4wDQvVEOk/img.png)
![](https://blog.kakaocdn.net/dn/Uxhte/btruol3db5v/rjzoR5SF69dix6PlpRUGbk/img.png)
![](https://blog.kakaocdn.net/dn/0zFYW/btrukg8lb18/OJatqNIjoHXERE3GBdVeV1/img.png)
2. BOM입니다.
모든 품목에 대해 상위품목과 부품관계 그리고 사용량, 단위 등을 표시한 Lis입니다.
![](https://blog.kakaocdn.net/dn/lRksk/btrukg1A13r/iZUon1AmP5rzygnAmhdoa0/img.png)
BOM은 Bill of Materils 로 자재명세서, 제조명세서라고 합니다. FTA 협정세율을 적용받기 위해 필요한 서류이며 원재료의 종류와 양이 기록된 서류입니다.
3. 제조공정도 (Manufactoring Process)
제조 과정을 도식화하여 표현한 서류입니다.
![](https://blog.kakaocdn.net/dn/cDN1nZ/btruuic1zq2/A6UF3WIdy3tItbGRtQlF01/img.png)
실질적으로 품목이 해당 국가에서 제조되었다는 것을 나타내는 것으로 제조공정을 나열한 것인데 사진과 공정순서를 나열하고 부연 설명을 달아 정리하면 되는 서류입니다.
4.원산지소명서 (Origin Calling)
원산지소명서는 수출자,생산자, 물품명세로 구성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SzCWo/btrusOpK4Uj/KkZznUN3FB9gmog1UI71e0/img.jpg)
FTA포털에 들어가면 양식을 다운받아 사용하면 됩니다.
5.원산지관리담당자의 서명과 직인명판
제출서류에 모두 찍어야 하므로 이미지 파일로 보관하여 사용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ASBb3/btruhvyaAl7/ELJVNHxkdtK6ZksICdqFc0/img.png)
원산지증명서에 대해 궁금하면 아래 참조바랍니다.
https://kjt0917ts.tistory.com/m/108
FTA(자유무역협정) 원산지증명서(C/O or CO : Certificate of Origin)
ㅎ외공사 할 경우 물품을 납품해야 하는데 해당국가가 어디냐에 따라 FTA원산지증명을 제출해야 합니다. FTA(자유무역협정 Free Trade Agreement)는 협상체결 국가간 무관세 또는 저율관세를 적용하여
kjt0917ts.tistory.com
![](https://t1.daumcdn.net/keditor/emoticon/niniz/large/002.gif)
'품질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ITP(=QIP)와 INSPECTION & TEST PROCEDURE(I&TP) 차이 (4) | 2022.03.13 |
---|---|
API620 NDE(RT, UT, MT, PT) & 시험검사(VB, VE, AIR TEST, HYDRO. TEST) 요약 (2) | 2022.03.07 |
품질) PQT (PROCEDURE QUALIFICATION TEST, PQ TEST, 시공인증시험)와 PQT PROCESS (0) | 2022.02.24 |
탄소강(CARBON STEEL)의 용접후열처리(PWHT) 요건 (3) | 2022.02.23 |
품질) 원 자재 (소재) 구매 시 검토해야 할 추가 요구 조건 ( Material Supplementary Requirement _ S1, S2 (0) | 2022.02.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