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P(=QIP)와 INSPECTION & TEST PROCEDURE(I&TP)에 대해 보겠습니다.
INSPECTION & TEST PROCEDURE 는 시험 및 검사절차서라고 말합니다.
간단하게 INSPECTION PROCEDURE라고도 부릅니다.
ITP (INSPECTION TEST PLAN)와는 차이가 있는데 ITP와 I&TP는 국내 PROJECT든 해외 PROJECT든지 간에 품질에서 제출해야하는 필수 절차서(PROCEDURE) 입니다.
단, 고객(CONTRACTOR)이 제공하는 것이라면 제출하지 않아도 되지만 고객이 제공해 주는 서류 역시 CLIENT에 제출되어 승인된 절차서겠죠.
![](https://t1.daumcdn.net/keditor/emoticon/friends1/large/002.gif)
ITP는 검사계획서 입니다.
우리가 제품을 만들때 해당 ITEM에 대해 어떤 검사를 할 것인지 계획을 하고 고객과의 검사 POINT를 명기하여 PROJECT 수행 시 ITP에 따라 자재검사, 밴딩검사, 가공검사, 용접검사, 비파괴검사, 열처리검사, 육안검사, 치수검사, 압력시험 등 의 검사를 하기위한 서류가 ITP입니다.
ITP에 대해 궁금한 사항은 아래 클릭하여 참조바랍니다.
INSPECTION & TEST PROCEDURE (시험 검사절차서)는 검사를 어떻게 할것인가에 대한 절차이고 ITP는 무엇을 검사 할 것이라는 절차서(PROCEDURE) 입니다.
I & TP의 이해를 돕기위해
참고로 실적공사의 I & TP 목차를 예시로 올립니다.
목차를 보면 가이드 라인을 알수 있습니다.
어떤 형태로 어떤 내용이 기술되는지~
그러므로 I & TP에는 검사하는 것에대해 합격기준이라든지 근거, 방법 등이 나열되어야 합니다. 예를들면 자재가 입고되면 어떤 기준에 따라서 어떻게 검사를 하고 합격기준을 나열해야 하는 것입니다.
그래서 ITP에 따라검사를 하고 도면과 I & TP에 따라서 합격 유무를 판정하게 되는 것입니다.
특수공정의 경우 해당 ITEM에 대한 절차서가 별도로 제출해야 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렇게 독립적으로 제출해야 하는 절차서가 있더라도 I & TP에는 개략적인 내용을 언급해 주어야 합니다.
어떤 경우는 이런 경우도 있습니다.
ITP에는 검사항목이 잡혀있지 않은데 I & TP에 기술되어 있는데 경우가 있는데 품질(QUALITY) 검사원은 ITP에는 항목 자체가 없어 고객검사 없이 자체검사를 하고 공정 진행을 했는데 I & TP에 내용이 기술되어 있어서 고객감독이 왜 검사를 임의로 하느냐 검사절차서에 내용이 언급되어 있으니 검사신청을 하라는 경우가 있는데 이러면 난처한 경우가 발생 될 수가 있습니다.
![](https://t1.daumcdn.net/keditor/emoticon/friends1/large/023.gif)
그러므로 ITP와 I & TP를 작성 할 때 품질(QUALITY) ENGINEER는 두 서류간의 MATCHING을 시켜 절차서를 만드는 것이 중요합니다.
ITP와 I & TP는 다른 서류이고 구분이 되어 있는 서류지만 고객이 COMPLAIN을 하게 되면 피곤해 지므로 품질 ENGINEER는 ITP와 I & TP의 내용을 잘 MATCHING 시켜서 작성해야하니 참조바랍니다.
이상 I & TP에 대한 내용이였습니다.
'품질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품질(QUALITY) 고객만족 QA QC QM QI 이게 다 뭐야? (4) | 2022.04.17 |
---|---|
API620 NDE(RT, UT, MT, PT) & 시험검사(VB, VE, AIR TEST, HYDRO. TEST) 요약 (2) | 2022.03.07 |
FTA 원산지증명서 (CO or C/O) 발급에 필요한 서류는 어떤게 있지? CO, C/O, BL, B/L, P/L, BOM 등... (2) | 2022.02.26 |
품질) PQT (PROCEDURE QUALIFICATION TEST, PQ TEST, 시공인증시험)와 PQT PROCESS (0) | 2022.02.24 |
탄소강(CARBON STEEL)의 용접후열처리(PWHT) 요건 (3) | 2022.02.23 |
댓글